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이론/구글 애널리틱스

구글 애널리틱스(GA4)란 무엇인가

by 마케터 배군 2022. 9. 6.
반응형

1. 구글 애널리틱스(GA4)란

구글 애널리틱스(GA4)란

구글 애널리틱스는 웹이나 앱에서 발생하는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툴입니다. 광고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면 분석을 통해 성과를 측정하고, 따로 잠재고객 설정도 가능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2005년에 서비스를 시작하여 여러 변화를 거친 후, 지금의 GA4 버전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웹 분석을 위한 툴로 시작했으나, 파이어베이스 출시 등 앱 분석 툴로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2. GA4와 UA 차이

UA

Universial Analytics에는 이미지에서 보이듯 사전에 정의된 4개의 이벤트 필드가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수집을 원한다면 따로 설정을 해야 했습니다.

 

GA4

 

반면에 GA4의 이벤트 필드는 간단합니다. 이벤트 이름이 존재하고 추가 정보는 파라미터를 활용해 수집이 가능하죠.

 

3. 세션 수 집계 방법

구글 애널리틱스가 GA4 버전으로 바뀌면서 세션 수 집계 방식이 변했는데요. 아래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기에 UA의 세션 수보다 적게 나타나곤 합니다.

 

1) 캠페인 소스 변경

UA의 경우 세션 중간에 다른 캠페인 데이터(다른 도메인, UTM 파라미터 등)가 수집되면 기존의 세션을 종료하고, 새로운 세션을 시작했습니다. 이 경우 동일 사용자가 여러 번의 세션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에 GA4 같은 경우는 캠페인 소스가 변경되도 세션이 새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2) 날짜 변경

UA에서는 날짜가 변경되는 순간, 즉 12시가 되면 세션이 새로 발생합니다. 이 경우에도 동일 사용자에게 2번의 세션 발생이 가능한데요. GA4의 경우에는 자정이 지나도 기존 세션이 종료되지 않습니다.

 

4. GA4 새로운 기능

1) 앱 웹 데이터 통합

UA 버전에서는 앱과 웹을 구분하여 볼 수 있었는데요. GA4는 보기의 개념이 없어지고, 하나의 속성 안에서 웹과 앱 데이터를 한 번에 조회가 가능합니다.

 

2) 향상된 측정

GA4에서는 자동으로 6개의 이벤트를 제공하는데요. 페이지 조회, 스크롤, 이탈 클릭, 사이트 검색, 동영상 호응, 파일 다운로드가 있습니다.

 

 

3) BigQuery 연동

이전까지 BigQuery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료 버전을 사용했어야 하는데요. 이제는 GA4 버전에서 BigQuery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향상된 디버깅

구글 태그매니저로 GA4를 설치했다면 미리보기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디버깅이 가능합니다. 통계상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벤트가 잘 삽입되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5) 향상된 분석

유료 버전에서만 가능했던 부분입니다. 분석 허브가 제공하는 다양한 툴을 활용하여 분석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